노인을 위한 스마트폰

65세 이상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과 사용 가이드

kkongbori0425 2025. 8. 13. 08:46

어르신 교통카드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만 65세 이상 어르신은 「노인복지법」과 각 지자체 조례에 따라 지하철 요금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경로 무임승차’라고 부르며, 전국 대부분의 도시철도(수도권, 부산, 대구, 대전, 광주)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 혜택을 편리하게 이용하려면 어르신 교통카드가 필요합니다.
이 카드는 교통카드 기능 + 연령 인증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개찰구에 카드를 태그하면 무임승차가 자동 인식됩니다.
주민등록증을 매번 보여주는 방식보다 훨씬 빠르고 안전하며, 버스나 기차 등에서는 일반 교통카드처럼 요금이 부과됩니다.

65세 이상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법

발급 대상과 준비물

발급 대상

  • 주민등록상 만 65세 이상인 사람
  • 해당 시·도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

준비물

  •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신분 확인용)
  • 최근 6개월 이내 촬영한 증명사진 (지역별 요구 여부 다름)
  • 발급 수수료: 대부분 무료, 일부 지역은 1,000~2,000원 부과 가능

💡 일부 지자체는 발급 시 현장에서 사진 촬영을 해주기도 하니 방문 전 확인 필요

 

발급 절차 – 지역별 예시

수도권(서울·경기·인천)

  1. 거주지 관할 시·군·구청 교통과 또는 무임교통카드 발급 창구 방문
  2. 신분증 제시 및 신청서 작성
  3. 사진 제출(필요 시)
  4. 즉시 발급 후 당일부터 사용 가능

부산·대구·광주·대전

  • 도시철도 고객센터 또는 구청 민원실에서 발급
  • 일부 지역은 발급 후 1~2일 뒤 사용 가능

 

사용 범위와 요금 혜택

  • 지하철: 수도권,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무료
  • 시내버스: 대부분 지역 일반 요금, 일부 지자체만 무료·할인
  • 기차·고속버스: 10~30% 할인만 적용, 무료 아님

 

무임카드 충전이 필요한 경우

 

많은 분들이 무임카드는 ‘충전이 필요 없는 카드’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교통카드 기능이 함께 들어 있어 충전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 시내버스 이용 시: 무료 혜택이 없는 경우 잔액에서 요금이 차감
  • 광역버스·마을버스: 전액 유료
  • 기차·고속버스: 할인만 적용, 잔액 결제 필요
  • 지방 방문 시: 해당 지역 정책에 따라 버스 요금이 발생할 수 있음

💡 무임카드라도 버스를 자주 타는 어르신은 NFC 앱 충전이나 편의점 충전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교통카드 충전 방법

NFC 충전(안드로이드 전용)

  1. NFC 기능 켜기
  2. T머니GO·캐시비 앱 설치
  3. 결제수단 등록 후 카드를 스마트폰 뒷면에 대고 충전

편의점 충전

  • CU, GS25, 세븐일레븐 등에서 현금·카드 결제 가능

 

분실·재발급 절차

  1. 발급기관에 분실 신고 → 기존 카드 정지
  2. 잔액 환불 또는 새로운 카드로 이관
  3. 신분증 지참 후 재발급 신청
  4. 일부 지역은 재발급 수수료 부과

 

자주 묻는 질문(FAQ)

 

Q. 서울에서 발급받은 무임카드를 부산 지하철에서도 쓸 수 있나요?
A. 네, 전국 도시철도 무임 시스템이 연동되어 사용 가능합니다.

Q. 무임카드로 KTX를 타면 무료인가요?
A. 아니요, 10~30% 할인만 적용됩니다.

Q. 카드를 빌려줘도 되나요?
A. 불가능합니다. 부정승차로 과태료 부과 대상입니다.

 

지역별 혜택 표

지역지하철 무임버스 할인/무료비교
수도권 무료 없음 서울·인천·경기 전 구간 적용
부산 무료 없음 도시철도 전 노선 무료
대구 무료 없음 도시철도 전 노선 무료
대전 무료 없음 도시철도 전 노선 무료
광주 무료 없음 도시철도 전 노선 무료
세종 지하철 없음 일부 노선 무료 광역버스 유료
제주 지하철 없음 일부 시내버스 무료 노선별 상이
 

 

 

요약해볼까요

  • 만 65세 이상 어르신은 전국 주요 도시 지하철 무료
  • 무임 혜택과 일반 교통카드 기능을 겸한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 필수
  • 버스·기차 이용 시 충전 필요, NFC·편의점에서 가능
  • 분실 시 재발급 절차 숙지, 지역별 혜택 차이 확인